교육단체소식 476

전북지역교육연구소 “지정기부사업에 교육사업 적극 발굴 제안”

2025.3.10 도내 지자체, 고향사랑기부제“지정기부사업에 교육사업 적극 발굴 제안” ​1. 지역교육 발전을 위해 애쓰시는 언론사 기자님들의 노고에 경의를 표합니다. 2. 지역교육공동체 건설을 꿈꾸며, 지역교육 정책개발을 위해 노력해온 전북지역교육연구소(대표 이미영)는 고향사랑기부제 사업 활성화를 위해 적극 노력해온 전북특별자치도와 시군 자치단체에 경의를 표한다. 전북지역교육연구소는 지난해부터 도입된 고향사랑 지정기부사업에 교육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줄 것을 제안한다. 3. 고향사랑 지정기부금은 기부의 투명성을 높이면서 기부자에게 지역 현안에 관심을 가지도록 하는 제도로, 교육사업 지정기부사업은 고향에 대한 기부자의 마음을 얻는 주요 정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미 전국적인 모범사례로 제시된 고창군..

전북청소년교육문화원, 이사장/원장 이취임식

(사)전북청소년교육문화원 이사장/원장 이취임식이 3.26(화) 6시, 전북청소년교육문화원(본원) 교육실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행사에는 전북참여자치시민연대, 교육자치시민연대 김영기대표와 관계자들, 본원 초대이사장인 이미영대표, 이철국, 김영춘 자문위원, 송승용교육장, 양병중교장, 서정배교장, 이점만 원로교사 등 회원, 지인 등 50여명이 참석하였다.  임동연 사무처장의 사회로 시작된 이임식에서는 지난 9년간 본원을 튼튼하게 일궈오신 정우식 이사장 공로패 수여가 있었다. 정우식 이사장은 이임사에서 지난 활동 기간을 회고하며 "단체 활동에 많은 땀방울을 쏟았지만 오히려 자신이 성장하고 배워가는 시간이었다"며 앞으로도 묵묵히 단체 일에 전념하겠다고 말해 참석자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신임 남상팔 이사장은 취임사..

김준권의 국토 版刻長征(판각장정) 전시회

전북특별자치도 출범 1주년기념-김준권의 국토 판각장정, 한국소리문화의 전당(전시기간 2025.1.17~3.30)​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전시실에서80년대 민중미술 판화가로 접했던 김준권 작가의 목판화 작품 세계를 다시 만날 수 있었다.40여 년이 흐르면서 자연과 사람, 마을, 섬을 주제로 창작 생활을 한 작가의 작품 세계(1985~2024)를 한 곳에서 볼 수 있어 더없이 반가웠다. 전시실에 들어서자 마자 산을 주제로 한 '山韻(산운)' 대작을 보면 탄성이 절로 나온다.김준권 작가의 사색과 창작의 과정이 어떠했을까 감히 짐작할 순 없지만, 작품 속 산하를 보면 한반도의 역사와 굴곡 많았던 민초들의 생명력이 되살아오는 것만 같다.김준권 작가는 "나에게 사생을 한다는 것은 잠녀가 물질을 하다 수면으로 올라와..

소박한 삶을 위한 원칙

한 해가 저물어갑니다. 무안 대참사에 안타까움으로 하루를 보내며, 희생자에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그리고 슬픔에 잠긴 유가족에게도 위로의 마음을 보냅니다.새해에는 모두가 평안한 하루 하루가 되기를 기원해봅니다.마음을 다잡으며, 스콧 니어링과 헬렌 니어링이 실천했던 소박한 삶을 음미해봅니다. 1. 어떤 일이 일어나도 당신이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하라.2.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라.3. 당신이 좋아히는 일을 찾아라.4. 집, 식사, 옷차림을 간소하게 하고 번잡스러움을 피하라.5. 날마다 자연과 만나고 발 밑에 땅을 느껴라.6. 농장일 또는 산책과 힘든 일을 하면서 몸을 움직여라.7. 근심을 떨치고, 하루 하루씩 살아라.8. 날마다 다른 사람과 무엇인가 나누라. 혼자면 누군가에게 편지를 쓰고, 무엇인가 주고 ..

20, 30대 여성들에게

20, 30대 여성들에게 2024년 12월 3일밤~12월 14일 밤 그 날은 그대들의 시간이었다. 맑은 눈과 열정,참여와 행동을 통한 성취감맘껏 맛보고 새로운 세상을 꿈꾸라. 빛을 스스로 내며, 빛을 만들어그대들의 삶에 평화, 사랑, 희망그리고 행복도 다 누려라. 그리하여 우리들의 일상한반도의 분단, 세계의 전쟁터를평화로운 세상으로 인도하라.          - 2024. 12.15 새벽에 이미영-

완주교육한마당, 전주교육나눔한마당 방문

2024. 10.31 화창한 오후  도교육청 지역과 함께 특별자문위(위원장 이미영)에서 교육협력과 관계자들과 함께 한 해 동안 지역과 함께 아이들과 실천하고 체험한 교육내용을 공유하는 완주교육한마당(삼례 꿈이공), 전주교육나눔한마당(전주교육지원청 마당)을 방문하였다.  먼저 방문한 완주교육한마당은 이틀(10.30-31)동안 공연, 체험, 전시 프로그램 등을 하고 11.1-8 교육공동체 수업 사례발표, 학술문화행사가 열린단다. 넓은 운동장에 마련된 공연장에서 청소년 밴드의 노래소리가 경쾌하였다. 교육지원청 학력지원센터, 위센터 등 각 센터가 마련한 부스와 완주 관내 고교들의 안내 부스가 눈에 띄었다. 부스를 돌며 사서교사들이 마련한 부스에서 읽은 책에 대한 서평을 쓰면 책 한권을 선물로 준다기에, 난 최근..

순천마을교육공동체 답사

2024.10.25(금) 오전8시~오후6시 답사 경로: 전주-순천 저전나눔터-저전마을 투어-순천풀뿌리교육자치협력센터 사무 공간(순천남초등 별관)-점심식사-조곡동 우리마을연구소-철도문화마을 투어-전주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 지역과함께 특별자문위원회(위원장 이미영)는 순천풀뿌리교육자치협력센터(이하 센터)의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을 탐방하고 돌아왔습니다. 이번 답사는 자문위원과 도내 각 시군 마을강사, 도교육청 관계자들도 함께 해 더욱 뜻깊은 자리가 되었습니다.  일행은 먼저 저전나눔터에 도착, 임경환 이사장(재미난협동조합)으로부터 센터의 7년 여에 걸친 '순천마을교육공동체 사례' 강의를 들었습니다. 임이사장은 강의에서 순천 마을교육공동체 비전, 교육거버넌스 조직, 마을학교 운영, 마을연계교육과정 개발, 마을교육자..